맨위로가기

신비 염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비 염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1371년 신비로 책봉되었다. 염씨는 1350년 염제신의 딸로 태어났으며, 공민왕이 시해된 후에는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다. 1372년 공민왕이 후궁들에게 강간을 명했을 때 이를 거부했으며,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비구니 - 혜비 이씨
    혜비 이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노국대장공주 사후 후비에 책봉되었으나 공민왕의 강간 시도에 저항했으며, 공민왕 사후 여승이 되어 정업원에 머물다 고려 멸망 후 혜화궁주로 조선 초까지 생존했고, 아버지는 이제현이다.
  • 고려의 비구니 - 정비 안씨
    정비 안씨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아버지의 파직과 공민왕과의 갈등으로 궁에서 쫓겨났으며, 고려 왕조 말 왕위 계승에 관여하고, 조선 건국 과정에서 국새를 이성계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한 인물이다.
  • 파주 염씨 - 염홍철
    염홍철은 경남대학교 교수, 청와대 정무비서관, 대전광역시장 3선, 한국공항공단 이사장, 한밭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수, 시인이며,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덕연구단지 발전에 기여했으나 정책의 불균형성과 을지의과대학교 설립 청탁 관련 자금 수수 사건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파주 염씨 - 염보현
  • 고려 공민왕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신비 염씨
기본 정보
이름신비 염씨
한글신비 염씨
로마자 표기Sinbi Yeomssi
출신 가문파주 염 (출생)
가문 (혼인 후)왕 (혼인)
왕비 정보
왕비고려의 왕비
재위 기간1371년–1374년
재위 유형재임
책봉1371년
이전정비
이후궁인 한씨
개인 정보
출생1350년
출생지고려
배우자공민왕 (1371년 결혼, 1374년 사망)
자녀없음
가계
아버지염제신, 곡성내부왕
어머니진한국대부인 안동 권씨

2. 생애

신비 염씨는 1350년에 염제신안동 권씨 부인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11명의 자녀 중 11번째 자녀이자 여섯 번째 딸이었다. 셋째 오빠 염정수를 통해 예종의 부인인 안순왕후의 고조모가 되었다.

1371년(공민왕 20년) 음력 11월 28일에 공민왕에 의해 신비(愼妃중국어)로 책봉되었다.[6][2]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3]

1372년(공민왕 21년) 음력 10월, 공민왕은 자제위 소속의 한안, 홍륜 등을 시켜 자신의 후비들을 강간하게 하였다. 이는 아들이 생기면 그 아들을 자신의 소생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이때 익비 한씨 등은 이 명령을 거부하지 못하고 임신까지 하였으나, 혜비 이씨, 정비 안씨, 신비 염씨는 그 요구를 끝까지 거부하였다.[7]

1374년(공민왕 23년) 공민왕이 시해된 후에는 머리를 깎고 비구니가 되었다.[5] 공민왕 사후에도 조정에서는 혜비(惠妃)·신비(愼妃)·정비(定妃)·현비(賢妃)에게 계속 일용품을 지급하고 있었다. 1388년(우왕 14년) 음력 12월 헌사에서 그녀들이 정실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러한 일용품 지급을 중단하고 세록[8]만 지급케 하도록 청하였다.[9] 이후 염씨의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생몰년이나 묘소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2. 1. 가계

염제신(1304~1382)과 안동 권씨(진한국대부인)의 딸로, 증조부는 염승익, 조부는 염세충, 외조부는 권한공이다.[1]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염승익(廉承益)흥법좌리공신(興法佐理功臣)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도첨의중찬 상장군 판전리감찰사사(都僉議中贊上將軍判典理監察司事)
조부염세충(廉世忠)중현대부(中顯大夫) 감문위대호군(監門衛大護軍)
염제신(1304~1382)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외조부권한공(權漢功)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영예문관사(領藝文館事)
안동 권씨(진한국대부인)
오빠염국보(?~1388)
형부홍징(洪徵, ?~1388)밀직부사(密直副使)
오빠염흥방(?~1388)
형부임헌(任獻, ?~1388)진현관제학(進賢館提學)
형부정희계(鄭煕啓, ?~1396)밀직사상호군(密直使上護軍)
제부이송(李悚)삼사우윤(三司右尹)
남동생염정수(?~1388)
서제염혜주(廉惠珠)
서제염광원(廉廣元)
서제홍문필(洪文弼)중랑장(中郞將)
시아버지충숙왕(1294~1339, 재위:1313~1330, 1332~1339)제27대 고려
시어머니공원왕후(1298~1380)
남편공민왕(1330~1374, 재위:1351~1374)제31대 고려



신비 염씨는 1350년에 염제신과 안동 권씨 부인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11명의 자녀 중 11번째 자녀이자 여섯 번째 딸이었다. 셋째 오빠 염정수를 통해 예종의 부인인 안순왕후의 고조모가 되었다.

2. 2. 왕비 책봉

愼妃중국어 염씨는 1371년(공민왕 20년) 음력 11월 28일에 공민왕에 의해 왕비로 책봉되었다.[6][2]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3] 1372년(공민왕 21년), 공민왕은 한안, 홍륜 등 젊고 잘생긴 남자들을 뽑아 후궁들과 관계를 맺도록 명령했다.[4]

2. 3. 왕비 시절

1371년 11월 28일(고려 공민왕 20년) 신비(愼妃)로 책봉되었다.[2] 슬하에 자녀는 없었다.[3]

1372년(공민왕 21년) 음력 10월 갑술일 공민왕은 젊고 잘생긴 남자들을 뽑아 설치한 자제위 소속의 한안, 홍륜 등을 시켜 자신의 후비들을 강간하게 하였다. 이는 아들이 생기면 그 아들을 자신의 소생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이때 익비 한씨 등은 이 명령을 거부하지 못하고 임신까지 하였으나, 혜비 이씨, 정비 안씨, 신비 염씨는 그 요구를 끝까지 거부하였다.[7]

1374년(공민왕 23년) 공민왕이 시해된 후에는 머리를 깎고 여승, 즉 비구니가 되었다.[5] 공민왕 사후에도 조정에서는 혜비(惠妃)·신비(愼妃)·정비(定妃)·현비(賢妃)에게 계속 일용품을 지급하고 있었다.

1388년(우왕 14년) 음력 12월 헌사에서 그녀들이 정실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러한 일용품 지급을 중단하고 세록[8]만 지급케 하도록 청하였다.[9] 이후 염씨의 삶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2. 4. 사망과 후손

생몰년이나 묘소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공민왕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었다.

3. 가계

염제신(1304~1382)과 안동 권씨(진한국대부인)의 딸로, 증조부는 염승익(廉承益), 조부는 염세충(廉世忠)이다. 외조부는 권한공(權漢功)이다.

관계이름출생 - 사망비고
아버지염제신1304년 ~ 1382년곡성부원군
어머니안동 권씨? ~ ?진한국대부인
오빠염국보? ~ 1388년
형부홍징? ~ 1388년밀직부사
오빠염흥방? ~ 1388년
형부임헌? ~ 1388년진현관제학
형부정희계? ~ 1396년밀직사상호군
제부이송? ~ ?삼사우윤
남동생염정수? ~ 1388년
서제염혜주? ~ ?
서제염광원? ~ ?
서제홍문필? ~ ?중랑장
시아버지충숙왕1294년 ~ 1339년고려 제27대 왕, 재위: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
시어머니공원왕후1298년 ~ 1380년
남편공민왕1330년 ~ 1374년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년 ~ 1374년



태조의 두 번째 부인인 신덕왕후의 오빠 강순룡과 신비 염씨의 이모가 혼인하여, 신덕왕후와는 이종사촌 형제간이 된다. 셋째 오빠 염정수를 통해 예종의 부인 안순왕후의 고조모가 된다.

4. 대중문화 속 신비 염씨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 엄혜신이 연기했다.

4. 1. 드라마

참조

[1] 서적 京畿道史資料集: 고려 편 III-IV https://books.google[...] Gyeonggi Province 1998
[2] 웹사이트 염제신의 딸을 신비로 삼다 http://db.history.go[...] 2021-07-18
[3] 서적 내시, 권력 을 희롱 하다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06
[4] 웹사이트 공민왕 후비 신비 염씨 http://db.history.go[...] 2021-07-18
[5] 서적 韓國人物小說全集 https://books.google[...] Yuwen Ge 1967
[6] 문서 고려사 권43〈세가〉권43 - 공민왕 20년 11월 - 염제신의 딸을 왕비로 삼다
[7] 문서 고려사 권43〈세가〉권43 - 공민왕 21년 10월 - 자제위를 설치해 온갖 불륜을 저지르게 하다
[8] 웹사이트 녹읍 https://terms.naver.[...]
[9] 문서 고려사 권137〈열전〉권50 - 창왕 즉위년 12월 - 헌사에서 혜비 등에 대한 일용품 지급을 중지하라고 건의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